루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Docker 2

라즈베리파이 docker Node.js 이미지 오류 해결법

# fatal error in line 0 # unreachable code 그냥 node 이미지 대신에 node:버전-buster 또는 node:버전-stretch 를 사용하면 된다.

SemiP2P (홈서버 구축) 2021.08.24

라즈베리파이 인터넷 속도 테스트 with docker

openspeedtest를 이용해 라즈베리파이 인터넷 속도를 테스트해볼 수 있다. sudo docker run -p 3000:3000 -p 3001:3001 openspeedtest/latest 라즈베리파이 터미널에서 실행한다. 3000번 포트와 3001번 포트에 서버가 열린다. - 3000번: HTTP - 3001번: HTTPS 다른 컴퓨터에서 http://라즈베리파이IP:3000/ 로 접속해서 라즈베리파이 인터넷 속도를 테스트할 수 있다. openspeedtest는 서버를 연 컴퓨터(여기서는 라즈베리파이)와 접속자의 컴퓨터 사이의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, 라즈베리파이의 최대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좋다. 라즈베리파이별 인터넷 속도 참고..

SemiP2P (홈서버 구축) 2021.08.24
1
더보기
프로필사진

  • 분류 전체보기 (13)
    • 블로그 (1)
    • PRGRM (8)
      • JS (4)
      • Clojure (1)
      • Haskell (2)
      • ML (1)
      • Web (0)
    • SemiP2P (홈서버 구축) (4)

Tag

nodejs, 효율성, Applicative, Clojure, Functor, 유머?, 홈서버, monad, 라즈베리파이, WebDAV, ML, JS, 연산자오버로딩, create-react-app, cnn, hooks, Docker, haskell, 새블로그, react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5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